Q. 올해 계약직으로 일하게 된 청년입니다. 뉴스에서 보면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이 확대되었다고 보도되는데 저에게도 혜택이 있는 걸까요? 대부분 기준 중위소득을 보면 제가 해당되는 것 같지는 않더라구요.
A. 음...정부에서는 한국판 뉴딜 2.0 휴먼뉴딜 청년정책을 올해 8월에 발표했습니다. 청년들을 대상으로 격차해소를 줄여보자는 취지였죠. 올해 12월 대부분의 부서에서 2022년도 예산이 확정되었고, 청년자산형성 지원에 관련한 부분도 확정되었지만 신규사업으로 인해 시스템 구축 및 절차 협의로 인해 2022년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기존의 청년희망키움통장과 청년저축계좌가 통합되어1. 청년내일저축계좌로 단일화되었고, 적용범위는 좀더 확대되었습니다.2.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 3,600만원 이하의 청년이 2년만기 적금을 가입할 경우 시중이자에 2~4%의 저축장려금(약36만원)이 추가지급 됩니다. 3.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경우 총급여 5,000만원 이하의 청년이 장기펀드에 가입하면 연600만원 한도의 40%를 소득공제 해 준다고 합니다. 그외 조건들이 더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하반기 중 다시 한번 확인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및 주식투자에 발빠르게 움직이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이런 정책들이 사실상 큰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정부에서는 대상 범위가 확대되는 만큼 효과가 클 것이라는 의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