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정책 & 경기도 청년정책 ★ 주거정책 그것이 알고 싶다 "독립을 위한 첫걸음 1탄" ◆ 주거서비스 자가진단
◆ 청년주거에서 청년이란?
◆ 청년 맞춤형 주택 ① 행복주택: 젊은 층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직장과 학교가 가까운 곳 또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곳에 짓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② 청년 매입임대주택(기존주택 매입임대) : LH에서 매입한 주택을 만19세~39세 이하인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시중시세 40%~50% 수준으로 임대하는 주택 ③ 청년 전세임대주택(기존주택 전세임대) : 입주대상자로 선정된 청년이 거주할 주택을 물색하면 LH에서 주택소유주와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재임대하는 제도 ④ 기숙사형 청년주택: 부족한 대학생의 거주시설을 위해 건설한 원룸형 기숙사 및 매입한 다가구주택을 대학생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임대주택 💎한꺼번에 모아 보는 청년정책 [오산시]
[경기도]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Q. 지방에서 대학을 나와 지금 경기도로 이사온지 3년이 되어갑니다. 경기도내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월급에서 월세와 생활비를 쓰다보니까 돈을 모으기가 어렵네요. 경기도에서 제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나 정책이 있을까요? 사회초년생으로 시작을 타지에서 하신다면 주거도 그렇고, 비용면에서 조금은 부족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경기도내 거주하신다면 ①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 ② 청년복지포인트를 신청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① 경기도 청년노동자 통장은 참여자가 2년간 근로, 거주, 저축 등을 유지하며 매월 10만원 저축시 본인저축액(10만원)+ 경기도 지원금(142,000원) = 2년 만기 현금 480만원, 지역화폐 100만원으로 총 580만원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기준은 ☞ 여기서 확인하세요 ② 경기도 청년복지포인트는 1년간 120만원(포인트)를 지급하는데요. 경기청년몰에서 사용하실 수 있고, 연간 20,000명을 모집합니다. 2차 모집은 종료되었고, 11월에 모집할 예정이예요. 신청해보고 싶으시다면 ☞ 여기서 확인하세요 청년 기사 한주 요약💬 |
오산시 지역경제과 청년정책팀에서 발행하는 오청레터입니다.